어서 오세요~ 힐링 만다린입니다 :)
"나는 면역력이 약해서 환절기만 되면 감기에 걸려" " 나는 면역력이 쎄서 그런지 잘 아프질 않아"라는 말 해보신 적 있으시죠? 오늘은 우리 몸에 수없이 많은 미생물들이 들락날락거리면서 우리 몸에 감염을 일으켜 아프는 이유 혹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 몸의 방어체계인 면역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여러분들은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미생물들의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노트북, 컴퓨터, 핸드폰은 물론 옷이나 머리카락에도 정말 많은 미생물들이 붙어 있습니다. 우리가 숨 쉬는 코나 입, 그리고 귀나 눈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들이 몸 안에 들어오다 보면 면역시스템이 약해진 사람들은 스스로를 보호하는 강한 방어 체계가 무너졌기 때문에 감염에 걸려 병을 얻게 됩니다.
면역이란 생물이 감염이나 질병으로부터 대항하여 병원균을 죽이거나 무력화하는 작용 또는 그 상태를 말합니다. 유해한 미생물들의 침입을 방어하는 작용, 독이 있는 생명체에게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하는데, 우리는 태어날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 면역과 감염이나 예방 접종을 통해 후천적으로 얻은 적응 면역 두 개 모두를 지니고 있습니다.
면역작용에는 다양한 세포들이 그 역할을 담당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백혈구와 대식세포 입니다. 백혈구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세포로 외부 물질에 대항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식세포는 먹는 세포라고 하여 모든 조직에 분포하면서 세균과 바이러스들을 잡아먹어 녹여버리는 기능을 합니다. 그 보다 더 복잡한 임무를 수행하는 면역세포 T세포와 B세포라는 림프 세포들이 있는데, T세포는 다른 면역세포들에게 병원체가 몸에 들어왔음을 알려주는 알리미 기능을 수행합니다. B세포는 병원체에게 특정한 꼬리표를 달아서 면역세포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자 역할을 하면서 한 번 들어왔던 병원체를 기억하고 있다가 그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 알려 주는 임무도 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면역은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이 없습니다. 외부에 있는 병원체는 몸 속으로 들어오려면 눈물, 콧속 점막, 피부와 점액 조직, 위산 등의 첫 번째 방어벽을 만나야 하는데, 대부분은 눈물로 씻겨버리거나 효소들에 의해 녹아버리고, 끈끈한 점성을 가진 점막에 갇혀 사라지게 됩니다. 선천면역은 앞 전에 설명한 백혈구와 대식세포 그리고 K세포들이 그 담당을 합니다. 실제 대부분의 감염은 선천멱역에 의해 방어됩니다.
후천면역은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다시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갖으며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합니다. 후천면역도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으로 나누는데, 체액성 면역은 B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비하고, 이 항체가 감염된 세균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항체는 체액 속 에 존재하며 IgG ·IgM·IgA·IgD·IgE 등의 종류들이 각각 독특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항원이 침입했을 때 보조 T림프구가 주변 면역세포들에게 병원체가 들어왔음을 알리고, 그 알림을 B림프구가 형질세포나 기억 세포로 분화하면서 형질세포가 항체를 생성하여 항원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세포성 면역은 흉선에서 유래한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과정입니다. 보조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면 세포 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시켜서 세포 독성 T림프구가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그 자리에서 제거시킵니다. 분비된 림포카인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식작용을 돕고, 주로 바이러스 또는 세포 내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힙니다. 후천면역은 병원체 또는 그 독소를 면역원으로 예방 접종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일명 백신 접종이라고 하는데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면역력이 아닌 의도적인 활동에 따라 획득하게 되는 면역입니다. 즉 죽은 껍데기 항원을 몸속에 투입하여 그에 대한 면역을 형성하고 지속시키는 일이지요. 오늘날 다양한 인공면역 방법들이 개발 중에 있고, 암, 에이즈, 과민성 반응 등의 예방에 적용하고자 연구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면역에 대한 생물학적 정의와 그 과정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힐링하세요:)
'Science&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이란 무엇인가 (0) | 2020.01.20 |
---|---|
백신의 필요성과 그 종류 (0) | 2020.01.19 |
우울증의 심리학적 정의와 그 원인 (0) | 2020.01.17 |
고혈압이란 무엇인가 (0) | 2020.01.16 |
콜레스테롤의 정의와 분류 (0) | 2020.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