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 오세요~ 힐링 만다린입니다 :)
중국 우한 폐렴에 걸린 환자들이 600명을 초과하였다는 뉴스 다들 보셨나요?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여행 자제 경보령과 함께 안전 문자로 전염병 경보 알림이 내려진 상황입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가면서 전염병의 대한 두려움이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대 초 사스 바이러스로 아시아의 수십 개 국가에서 774명의 사상자가 나왔던 그 악몽이 또 한 번 시작되는 걸까요?
2020년 1월 말부터 전 세계의 전염병 트라우마를 다시 만들게 한 중국 우한 폐렴은 2019년 12월부터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를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유행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전문가들은 실제 감염자 수가 1700명에 가깝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코와 비강 또는 목 윗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바이러스이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 파급력이 전과 달라 우한 폐렴을 일으키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7일에서 30일까지이며 80% 이상이 감염 이후 7~15일 사이에 발병된다고 합니다. 국제보건기구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이 동물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 모든 발병 환자 사례가 우한시에 위치한 해산물 시장을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들 중 단 6종만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신종 바이러스가 새로 추가되면서 7개의 바이러스 종이 사람에게 감염된다고 정정하였습니다. 여태까지 폐렴에 걸린 환자들의 증상은 단순한 감기 증상보다 더 심각한 증상이 나타내고 있어 우려스럽지만 아직까지 사스처럼 심각하진 않다고 합니다. 번지는 속도도 굉장히 빠르고 이미 사망자들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다가오는 구정 연휴에 수억 명이 귀성길에 오르면서 더 빠른 전염 속도가 예상됩니다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난 질병인 폐렴에 대해 소개를 하자면, 폐에 염증이 일어나는 반응을 말하는데, 그 원인은 세균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습니다. 바이러스, 균류, 미생물이 주원인이지만 그 외에도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적인 화학 물질을 흡입하면서 발생되기도 합니다. 폐렴은 폐포에서 병원체의 증식과 이에 대한 인체 반응으로 발생하며 미생물은 여러 방식으로 입 인두로부터 하기도에 도달합니다. 코털들과 코 선반, 나뭇가지 양식의 기관지 갈라짐, 구역 반사와 기침기전은 흡인을 막는 중요한 방어기전인데, 입 인두 점막 세포에 있는 정상 상재균은 병독성이 더 강한 병원체가 여기에 부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폐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생물이 폐포까지 흡입된다 해도 폐포 대식세포가 이들 병원체를 청소 혹은 사멸시켜줍니다. 그러나 만약 폐포 대식세포가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면 임상적 폐렴이 발생됩니다. 폐렴은 원인에 따라, 발병 위치에 따라, 발생 시기에 따라 병변의 형태(대엽성, 기관지, 폐포성, 간질성)에 따라 분류됩니다. 노인이나 어린아이, 혹은 전체적으로 상태가 안 좋은 환자들이나 기침 반사가 약한 사람들에게는 흡입성 폐렴이 잘 생기며, 세균이 원인인 경우에는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1940년대까지만 해도 항생제가 개발되지 않아서 50~90%가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였는데, 지금은 세균에 의한 폐렴 환자들을 적절한 의학적 치료, 항생제, 인터페론, 약초 등으로 95% 이상이 회복하게 됩니다.
우한 폐렴을 일으킨 코로나 바이러스는 원래 전염성은 강하지만 병원성이나 치사율이 굉장히 약한 바이러스인데, 현재 퍼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염성도 강하고 치명적인 병원성을 가지는 특이 변종으로, 중국에서는 이 바이러스에 의해 걸린 폐렴의 치사율이 3~4%대에 달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원래 코로나 바이러스들은 치사율이 1%를 넘기는 사례가 거의 없으며 가벼운 감기로 끝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단일가닥의 RNA와 뉴클레오캡시드로 구성되어 있고, 유전자의 사이즈는 26~32kb로 RNA 바이러스 중 가장 커다란 사이즈를 갖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질병들에 대해선 아직까지 백신이나 항생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점차 퍼저나가고 있는 우한 폐렴에 대한 백신 혹은 항생제가 어서 빨리 개발되길 빕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힐링하세요:)
'Science&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 재조합 in vitro 실험 방법 및 의의 (0) | 2020.01.28 |
---|---|
전염(사람 간, 동물 사이의)이란 무엇인가 (0) | 2020.01.27 |
자가면역질환의 정의와 대표적인 질환 종류 (0) | 2020.01.21 |
혈액이란 무엇인가 (0) | 2020.01.20 |
백신의 필요성과 그 종류 (0) | 2020.01.19 |